728x90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 209

[AWS] CLI 결과 출력 형식 설정 방법

AWS 결과 출력 형식은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시에 중요하니, 꼭 설정 방법을 파악해두어야 한다. 결과 출력 형식이란? - AWS CLI 명령어 수행 후 나오는 결과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의미한다 - 지원하는 출력 형식은 json, text, table, yaml, yaml-stream 있다. 옵션을 통해서 결과 출력 형식 바꾸기 설정 파일을 통해서 결과 출력 형식 바꾸기 옵션을 지정하지 않아도 yaml[야멜] 방식으로 출력된다

DevOps/AWS 2022.06.03

[AWS] CLI 기본 Region 설정하는 방법

AWS CLI 기본 Region 설정하기 기본 Region을 설정하지 않았을 때 // EC2에서 등록된 키 페어를 가져오는 명령어 aws ec2 describe-key-pairs // EC2에서 등록된 키 페어를 가져오는 명령어 + region도 함께 설정하기 aws ec2 describe-key-pairs --region ap-northeast-2 기본 Region을 설정하는 방법 nvim ~/.aws/config region 옵션 없이도 정상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// EC2에서 등록된 키 페어를 가져오는 명령어 aws ec2 describe-key-pairs

DevOps/AWS 2022.06.03

[AWS] CLI 개념 / 설치 / 자격증명 우선순위

EC2 인스턴스 - AWS 계정에 SSH 키 등록을 할 수 있다. - SSH 개인키 fastcampus.pem 을 디렉토리로 가져와야한다 - SSH 개인키의 최소 권한 설정을 진행해야 한다. // 소유주 외의 모든 사람한테는 권한을 주지 말자 chmod 600 fastcampus.pem - EC2 머신 생성시에 SSH 키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ssh -i ./fastcampus.pem ubuntu@3.34.125.216 AWS CLI 개념 - AWS 서비스 관리를 위한 CLI 명령형 도구 - 2020년 2월 버전 2 출시가 되었는데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. - Python 기반으로 작성되어 Boto 패키지를 이용한다. - AWS CLI V2는 Python 3.6 이상 버전을 필요한다 - 터..

DevOps/AWS 2022.06.03

[AWS] 과금 방식 및 프리티어 정보

EC2 과금 방식 - AWS의 기본적인 서비스인 EC2는 굉장히 다양한 방식의 과금 방식이 있다. S3 과금 방식 - S3는 많이 이용할 수록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다 AWS 프리티어 - 언제나 무료 / 12개월 무료 / 평가판으로 세 가지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- EC2 12개월 무료 / 월당 750시간 - S3 12개월 / 5GB - Amazon RDS 12개월 / 월당 750시간 - 많은 AWS 서비스를 프리티어로 제공하지만, 모든 AWS 서비스가 프리티어를 제공하지는 않음 EC2 - 12개월 무료 - 윈도우와 리눅스 운영체제에 대해서 각각 750시간씩 제공 - EBS 저장소를 함께 사용하는데 EBS의 사용량이 프리티어 수준인지 확인하자 - 공인 IP를 위해 사용한 Ela..

DevOps/AWS 2022.06.03

[DevOps] DevOps 엔지니어의 역할

DevOps 엔지니어란? - 데브옵스 엔지니어는 데브옵스를 하는 사람일까? - 데브옵스 엔지니어는 조직에 데브옵스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이다. - 개인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. - 개발자가 개발 뿐만아니라 운영에도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. DevOps 엔지니어의 역할 - 데브옵스 문화를 정착하는 데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. - 개발자가 개발 뿐만아니라 운영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주는 시간을 쓰는 것이 데브옵스 엔지니어이다 DevOps 팀의 고객 - 데브옵스 팀의 주요 고객은 개발자이다. - 데브옵스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DevOps 팀의 업무 도메인 - 조직의 규모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DevOps 팀의 업무 도메인 (..

DevOps 2022.06.03

[DevOps] 정의와 DevOps가 필요한 이유

DevOps의 정의 - 개발(Dev)와 운영(Ops)의 합성어 - 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허물고 통합하고자 하는 문화 혹은 철학 - 개발팀과 운영팀이 별도로 운영하다보니 팀간의 커뮤니케이션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 - DevOps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지만, 여러 실천 방법들을 활용할 수 있다 DevOps가 필요한 이유 -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애주기(라이프사이클)에 여러 단계가 있으면 의사소통이 많이 필요하고, 특정 구간에서 병목구간이 생기기 쉽다. - 만든 사람이 더 테스트를 잘 하고 운영을 잘 할 수 있지 않을까? 라는 패러다임 필요성이 대두됨 DevOps 실천방법 : AWS - CI/CD : DevOps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- 마이크로서비스 : 아무리 자동화된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더라도 규모가 너..

DevOps 2022.06.03

[AWS]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과 단점 배워야 하는 이유

장점 - 언제 어디서든지 접근 가능 - 원하면 언제든지 컴퓨터 자원을 늘릴 수 있다 (클릭만으로) -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된다 (사용량 기반 과금) - 초기비용이 적게 든다 - 몇 분 만에 전 세계에 서비스를 런칭할 수 있다. 단점 - 관리를 위해서는 고급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- 파악하기 힘든 너무나 광범위한 서비스 - AWS라는 것은 컴퓨터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Cloud 위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정말 서비스가 많다. 그래도 예전에 AWS 없었을 때보다는 GUI 방식으로 클릭클릭해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의 On-Premise 상황보다는 나아졌다고 할 수 있다. 왜 클라우드 컴퓨팅을 배워야 할까? - DevOps 측면에서 AWS 만한 서비스가 없다. - 올인원 패키지이다. - 3-4년 ..

DevOps/AWS 2022.06.03

React 18 useEffect render twice

✔️ 필요성 React version 18이 2022년 3월에 출시되면서 기존에 만들고 있던 프로젝트를 React 17에서 18로 업그레이드 했는데, 그 와중에 개발기에서 이상하게 render를 두 번 하는 것이 이상해서 찾아본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. ✔️ React 18 Strict Mode React 18에서는 추후 React 상태를 유지하면서 UI 섹션을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싶습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가 화면에서 탭으로 뒤로 이동할 때 React는 즉시 이전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이를 위해 React는 이전과 동일한 구성 요소 상태를 사용하여 트리를 마운트 해제하고 다시 마운트합니다. In the future, we’d like to add a feature ..

tmap api ref.current.destroy is not a function

polygon이 바뀔때마다 새롭게 1)지도생성 2)폴리콘생성 3)edge맞춤을 하고, cleanUp 함수로 지도를 destroy()하는 useEffect를 만들었다 const tmap = useRef(null) useEffect(() => { console.log('useEffect') tmap.current = new CongestionTmap(37.545555, 127.224, 16) tmap.current.addPolygon(polygon[0]) tmap.current.fitEdge() return () => { console.log('map', tmap.current) console.log('cleanUp') tmap.current.destroy() } }, [polygon]) return ( )..

728x90
반응형